자유 게시판
[GE Dictionary] 지능형 그린인프라
🔹 지능형 그린인프라(i-GI)의 정의
지능형 그린인프라(Intelligent Green Infrastructure, i-GI)란, 자연 기반 해법(NbS: Nature-based Solutions)에 인공지능(AI), 공학적 시뮬레이션 기술, 그리고 데이터 기반 최적화 기법을 융합하여, 도시의 재난 대응력, 기후 회복탄력성, 지속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차세대 복합 인프라 시스템입니다. 단순한 '녹지의 조성'이나 '그린의 상징적 개념'을 넘어, 도시 시스템 내에서 실질적 기능을 수행하는 정량화 가능하고, 예측 가능한, 학제간 융합 기술 기반의 인프라로 재정의 됨
🔹 핵심 구성 요소
-
AI 기반 의사결정 및 예측 시스템
-
환경 데이터와 도시공간 데이터를 학습하여 최적의 인프라 배치, 재해 위험 예측, 기후 시뮬레이션 가능
-
-
공학적 시뮬레이션과 물리 모델의 통합
-
CFD, 수문해석, 구조물 해석 등을 통해 성능 검증 및 안전성 확보
-
-
디지털 트윈 기반의 실시간 운영 및 관리
-
실시간 환경 데이터를 활용한 그린인프라 상태 모니터링, 대응 시나리오 가상 테스트
-
-
그린-그레이 통합 설계 전략
-
자연기반 해법과 회색 인프라(콘크리트, 배수체계 등)의 유기적 결합
-
🔹 연구실 적용 예시
-
AI 기반 도시 미기후 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
도시 수목 배치 및 열쾌적성 개선을 위한 AI 예측 모델 구축
-
-
AI 적용 지능형 방재 그린인프라
-
투수성 포장 및 식생 기반 홍수 완화 구조물의 성능을 AI로 정량화
-
-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홍수/산사태 대응 인프라
-
공간 데이터, 강우 예측, 지형정보를 통합하여 실시간 대응 시스템 구현
-
-
AI+공학+그린인프라 융합연구
-
예: Simulia 기반 수목 피로 해석 + AI 기반 수목 설계 모델 → 바람환경 대응형 도시조경 구조물 개발
-
🔹 정의 요약 (한 줄 요약문)
“지능형 그린인프라(i-GI)란, AI·공학기술·자연기반 해법을 융합하여, 도시 재난 대응성과 환경 성능을 극대화한 차세대 스마트 인프라 시스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