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GE Dictionary] 조경공학(LE), 토목공학(CE), 그린인프라공학(GE)
작성자
admge
작성일
2025-07-19
조회
11
♦ 조경공학 vs. 토목공학: 철학적·기술적 비교
구분 | 조경공학 (Landscape Engineering) | 토목공학 (Civil Engineering) |
---|---|---|
1. 역사적 기원 | 예술적 조경설계(Landscape Architecture)와 생태학, 원예, 도시설계의 기술적 기반 확장에서 출발 | 군사 및 인프라 구축(도로, 교량, 수로 등)의 실용적 필요에서 기원 |
2. 지향점(철학) |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위한 다기능적·친환경적 공간창출에 초점. 생태적 회복력과 경관적 미학을 조화 | 인프라 구축 및 안전 확보를 통한 사회기반 정비. 기능성과 구조적 안정성 중심의 설계 철학 |
3. 기술적 방법론 | 저영향개발(LID), 생태공학, 식생기반 시설설계, 사용자 경험(UX) 기반 설계 등 통합적 접근 강조 | 구조해석, 유체역학, 토질역학, 수리수문 등 정량적·물리 기반 공학 기술의 정교한 적용 |
4. 사회적 가치 | 탄소중립, 도시열섬 저감, 생물다양성, 재해회복탄력성 등 환경·사회·문화적 가치의 통합 구현 | 안전성, 경제성, 기술적 효율성 등 사회 기반 시설의 구축과 유지보수 중심 |
5. 학문 간 통섭성 | 조경학, 생태학, 환경디자인, 도시계획, 공공정책 등과의 교차연결이 활발 | 건축, 기계, 환경공학, 지질학 등과의 협업 중심이나, 다소 폐쇄적인 기술 중심 구조 유지 경향 |
6. 인간 중심성 | 사용자 경험과 공간의 심리·사회적 기능 고려. ‘사람이 체류하고 느끼는 공간’ 설계 | 이용자 보다는 기능성과 규모 중심. 인간은 ‘이용자’로서 고려됨 |
7. 공간적 스케일 | 공원, 가로, 수변, 도시오픈스페이스 등 중·소규모 공간 설계에 특화 | 교량, 도로, 댐, 항만 등 대규모 구조물 중심의 공간 조성 |
8. 미래적 확장성 | 디지털 트윈, 스마트 그린 인프라, 기후적응형 도시설계 등으로 확장 중 | 스마트시티 인프라, 모니터링 시스템, AI 기반 시설관리 등 기술 고도화 진행 중 |
♦ GE 연구실 정체성 확립을 위한 방향성
1. “융합적 정체성”으로 재정의
-
토목공학 기반의 구조공학 전문성과 조경공학의 환경·도시·경관적 통합 접근을 모두 다루기에, 이는 곧 “공학 기반의 환경설계자”, 또는 “그린 인프라 엔지니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구축할수 있는 기회임
2. 그린인프라공학의 위치
-
그린인프라공학은 토목의 기술성과 조경의 감수성을 융합하여 “재해를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지속가능한 공간”을 만드는 학문임. 두 학문 간의 간극을 연결하는 실천적 학제융합의 장으로 볼 수 있음
3. 정체성의 철학적 방향
-
다음과 같은 질문을 중심으로 GE 연구철학을 정립해볼수 있음:
-
“ 구조적 안정성과 생태적 회복력을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
“기후위기 시대에 공학자는 무엇을 설계해야 하는가?”
-
“기능적 인프라를 넘어서는 ‘감성적 인프라’는 가능한가?”
-
맺는글: GE 정체성을 다음과 같이 감성적으로 표현할수도..
-
기술적 미감(技術的 美感)을 갖춘 엔지니어
-
감성적 재난예방공학자
-
자연 기반 해법을 설계하는 구조공학자
-
인프라와 풍경 사이를 잇는 사람
전체 0
- 다음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 [GE Dictionary] GE 공학인가? 과학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