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AI와 공학에 기반한 지능형 기후대응 그린인프라 기술개발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를 위한  근거기반 그린-그레이인프라 최적화 시스템 개발

다 학문간 경계를 넘나드는 융복합 연구

Ideal Profile

Research

[복합재해] 물리모델 기반 도시 재난대응역량 진단 및 적응 모델 개발 : HCFD (Hazard Capacity Factor Design) Model

˙물리모델 기반의 기후변화 위험요인 (Hazard)과  성능(Capacity)의 정량화를 통한 도시의 기후탄력성 분석 및 최적화 설계 지원 모델
˙차트 기반의 플랫폼과 AI 기반의 최적화 방법론
˙관련 논문
Kim and Kang (2023)Kim et al.(2025)

[홍수] 도시홍수에 대응하는 그린-그레이 인프라 상호작용분석

˙기후변화 시나리오 및 미래 확률강우에 의한 도시 차원의 홍수 피해를 분석 및 진단
˙그레이 인프라와 그린 인프라의 홍수저감효과 및 상호작용 분석
˙관련논문
Park et al.(2024a)Park et al.(2024b)

[열] 전산유체역학 및 수치기반 해석을 활용한 도시열섬과 환경 관계 규명

행정가, 정책가, 시민 등 Citizen-level에서 의사결정 할 수 있는 재난재해의 종합적 진단 모델 개발 차트 베이스의 플랫폼과 머신러닝 알고리즘 제공

[산불] 환경요인 변화에 따른 산불의 확산 양산 분석 및 적응대책 수립

˙전산유체역학(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을 활용한 산불 및 연기의 확산경로 분석

˙임상의 변화 및 스프링클러 가동에 따른 산불 저감효과 분석

[AI+데이터구축]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3D 수목생육데이터 구축

˙탄소 흡수량 및 배출량 추정을 위한 3D 수목생육데이터 구축

˙엽록소 함량, 수고, 수관폭, 생육 등 데이터 변화량 추정.

˙수목의 정밀 모형 모델링을 통한 3차원 지도 플랫폼 개발 및 제공

[열+물] 물리모델 기반 기후대응 신기술 검증

˙CFD를 활용한 투수성 포장의 투수효과 및 냉각효과 검증

˙FEA를 활용한 기후대응 신기술의 구조안정성 검토

˙Micro-scale 및 macro-scale에서 적용기술의 효과 검증

[AI+플랫폼] 인공위성 영상 및 AI를 활용한 도심녹지 관리모델 및 플랫폼 구축

· 인공위성 관측 영상 다분관 이미지 변화 AI기술 개발
· 다차원 융합 데이터 기반 생육 진단 예측 AI기술 개발
· 그린인프라 통합 운영관리 플랫폼 구축

[미세먼지] CFD기반 그린인프라의 항만지역 미세먼지 저감효과 분석

˙CFD기반의 그린인프라의 항만지역 미세먼지 저감효과 분석

˙교목과 관목의 저감효율성 검증 및 정량화

˙흡착효과와 공기역학적효과의 규명